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언론속의 국민
[복지IN]단순히 앎이 아닌 작은 실천부터! / 김도묵(행정대학원) 겸임교수

현대산업사회는 전문화, 분업화, 다양화, 정보화, 기계화 등 모든 분야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새로운 제도, 기술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인간은 미래 지향적인 사고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얻는 것만큼이나 잃는 것도 너무나 많다.

시대와 사회가 사람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갈라놓고, 공동체와 지역사회가 무너지고 있는 21세기에 살아가고 있는 인류는 생존자체를 위협받기도 한다.

먼저 얻는 것이 있다면 불과 10∼20년 전만 해도 자녀보육과 양육 및 노부모의 요양과 부양,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등 사회복지는 가족 내에서 거의 모든 것이 이루어져 왔다. 그만큼 사회복지의 문제는 개인과 가족 또는 시장경제체제 안에서 이루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사회문제에 대해 국가와 사회가 책임지는 그야말로 국정목표도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실제 복지국가를 지향하지 않고서는 수준 높은 국민들의 니즈(needs)와 삶의 질 향상이라는 과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반면 잃는 것이 있다면 물질만능주의,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스트레스와 과로, 인간성 상실과 가족해체, 환경오염과 교통문제 등으로 현대사회는 인간에게 편리한 문명발달에 크나큰 도움을 주는 반면 상대적으로 많은 사회문제들도 야기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현대산업사회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인간성 회복과 함께 ‘더불어 사는 따뜻한 지역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복지와 자원봉사는 다양한 사람들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든다는 근본목적을 가지고 있다.

‘사회복지’는 모든 국민이 최적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가 제도와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해 보장해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제 사회복지가 개인, 가족, 시장체제에 맡겨지는 소극적인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우리는 많은 선행경험을 통해 알고 있다. 사회복지는 모든 국민들의 염원이며, 이를 보장하고 책임지는 조직은 당연히 국가와 사회여야 한다. 그러나 지방분권으로 인해 재정자립도가 낮은 기초자치단체들은 수준 높은 사회복지정책을 펼쳐 나가기엔 많은 재정적 부담을 가지고 있다. 국가와 지자체가 사회복지의 문제를 모두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이 사실이다. 이에 재정을 줄이고, 좀 더 질 높은 정책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자발적인 민간자원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1970∼1980년대에는 모든 물자와 여건이 부족했지만 그때는 따뜻한 지역사회 그리고 정겨운 지역공동체가 마을 단위로 살아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개인주의가 심화되어 가고 있는 시기에 무엇보다도 우리 경기도는 따뜻한 지역 공동체를 회복해 나가는 사회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당장 도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자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곳에 자원봉사나 후원으로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자원봉사’는 단순히 아는 것에 그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앎이 아닌 철저한 실천’을 필요로 한다. 경기도에도 많은 사회복지시설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많은 자원봉사자들과 후원자들이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고받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복지시설에는 이러한 자원들이 부족하다. 오늘부터라도 특별히 시간을 만들어서 지역사회 곳곳에서 봉사활동을 실천한다면 지역사회에 좋은 영향력들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도저히 시간이 되지 않는다면 물질적인 후원으로 봉사하는 것도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자원봉사는 누구나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아는 수준에서 그치지 말고, 직접 실천해 보는 것이 실질적으로 중요하다. ‘자원봉사는 단순히 앎이 아닌 철저한 실천’이 요구되는 아주 어려운 일이지만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기도 하다.

내가 살고 있는 경기도가 더욱 살기 좋은 고장이 되도록 조만간에 작은 일부터 한번 실천해 보는 것은 어떨까?

출처 :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0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