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언론속의 국민
[기고]모빌리티, 파격 혁신 모델에서 출발하라 / 정구민(전자공학부) 교수

지난 13일 국회의원 50여명이 참여하는 국회 모빌리티 포럼이 출범했다. 앞으로 국회모빌리티 포럼은 우리나라 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모으고 정책·제도 지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로 전 세계 관련 산업이 주춤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관련 산업을 새롭게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최근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파격 혁신 모델 성공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 가능한 서비스를 찾는 게 아니라 혁신 서비스 모델을 가정하고 그에 필요한 기술을 찾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콘텐츠 중심 스마트폰'의 애플, '사용성을 강조한 전기차'의 테슬라, '편리하고 효율 높은 배송'의 아마존 등 파격 혁신 모델에서 출발한 다양한 성공 모델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모델의 공통점은 소비자 중심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찾고, 이를 위한 기술을 구현했다는 데 있다.

모빌리티 산업의 파격 혁신을 위해서는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까. 모빌리티에서도 소비자, 즉 승객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승객이 원하는 것'을 찾아 먼저 서비스하는 게 중요하다. 운전자가 아닌 승객 측면에서 관련 산업을 바라보고, 자동차 산업을 넘어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정책을 지원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승객의 좋은 경험을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 △자율주행차-플라잉카-로봇의 융합 △스마트시티와 스마트 모빌리티의 융합 등 세 가지 측면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날 열린 국회 모빌리티 포럼 창립 세미나에서 송창현 코드42 대표는 “도시와 모빌리티가 함께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도시화-개인화-고령화가 더 심해져 가고 있는 현대사회를 고려하면서 스마트시티 정책과 스마트 모빌리티 정책을 융합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로는 도시 내 사용자들의 편리한 이동에 초점을 맞추고, 기술로는 자율주행차-플라잉카-로봇의 기술·서비스 융합을 가져가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모빌리티 진화를 위한 재미있는 사업들이 나오고 있다. KST모빌리티-현대차의 수요 응답형 커뮤니티 공유 차량 서비스 '셔클', 휴맥스의 모빌리티 기반 빌딩, 현대차와 네이버의 로봇 친화형 빌딩, 현대차의 플라잉카-자율주행 셔틀 기반 미래 스마트 시티 비전 등이 대표 사례다.

KST모빌리티-현대차의 셔클은 고정된 노선이 아니라 수요자가 원하는 대로 운행하는 공유 차량 서비스이다. 커뮤니티 내 여러 대의 공유 차량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이어 준다. 앞으로 신도시나 교통이 편리하지 않은 지역에서 많은 이용이 기대된다.

건물이 대형화하는 추세에 따라 현대차, 네이버 등 여러 업체가 로봇 친화형 빌딩을 제시하고 있다. 복도와 출입문을 재설계하고, 엘리베이터를 통신으로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로봇이 배송하고, 로봇이 사람을 태워서 실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휴맥스의 모빌리티 기반 빌딩에서는 건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카셰어링 서비스를 주차장에 도입하고,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며, 사무실 공간에 공유 주방이나 공유 오피스를 적용한다.

국가 과제 측면에서도 2027년 자율주행, 2025년 플라잉카, 2025년 자율운항선박 등의 과제가 추진되고 있다. 국가 기술 개발 사업과 업체들의 노력이 맞물리면서 좋은 성과를 일궈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새롭게 출범한 국회 모빌리티 포럼이 '소비자가 원하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해 정책과 제도 측면에서 아낌없는 지원을 해 주길 기대한다. 국회-정부-업계-학계의 긴밀한 협력으로 우리나라 관련 산업이 차세대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할 수 있길 바란다.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 gm1004@kookmin.ac.kr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