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소개
운동심리학 | 일반인의 건강관련 운동의 정신적 효과를 탐색해보고 운동의 참여, 지속, 탈퇴동기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일반인의 운동 참여와 지속을 증가시키고, 탈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중재 기법을 배운다. |
---|---|
스포츠심리학 | 운동선수의 성격, 동기, 정서 및 행동을 이해하고,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방법을 배운다. |
운동상담면접 이론 및 실습 |
상담에 필요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구체적인 상담과정을 익히며, 이를 스포츠와 운동 현장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스포츠성격심리학 | 성격의 정의, 유형, 이론체계를 습득하고, 성격 유형에 따른 스포츠와 운동 행동을 고찰한다. 아울러 성격을 측정하는 방법을 배워 스포츠와 운동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
운동학습 및 발달 | 가장 효과적인 운동 학습 방법을 탐구하며,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기까지의 운동발달의 과정 및 단계를 알아본다. 또한 운동발달 단계에 따른 심리를 알아보고, 이에 적합한 운동 형태와 상담 전략을 익힌다. |
스포츠동기 및 정서 | 운동은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운동을 통한 불안 및 우울 등과 같은 정서건강, 운동과 인지 및 기분변화, 운동과 스트레스, 운동과 수면, 운동과 약물, 운동중독 등에 대한 문제를 고찰해본다. |
운동 행동 수정 이론 및 실습 |
행동 수정의 이론적 모델과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스포츠, 운동장면에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힌다. 아울러 운동행동 변화를 위한 다양한 생동 수정 기법들을 익히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체득한다. |
집단 상담 이론 및 실습 | 집단상담의 기본 이론과 개념을 습득하고, 이를 스포츠와 운동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과 전략을 익힌다. 아울러 운동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
스포츠카운셀링연구방법 및 측정평가 |
스포츠카운셀링을 올바르게 접근하게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배워야 한다. 스포츠카운셀링연구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연구방법 및 절차, 통계 및 자료처리방법 등에 대해 배운다. |
스포츠멘탈 및 코칭 | 엘리트 선수들의 심리 상태를 이해하고 적절한 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배우며, 선수들의 기량 향상을 위한 멘탈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잘 적용할 수 있도록 코칭 기법을 배우고 실습한다. |
스포츠심리기술 이론 및 실습 |
운동 선수의 스포츠 수행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심리기술 기법들을 살펴보고, 운동 종목의 특성에 맞는 심리기술전략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아울러 심리기술이 일반 운동장면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 구체적인 기법을 익힌다. |
운동심리치료 이론 및 실습 |
스포츠와 운동의 다양한 심리적 치료효과를 알아보고, 현대인의 정신 및 심리적 문제를 운동이나 스포츠로 어떻게 적용하여 치료할 것인지 알아본다. |
건강운동상담의 실제 | 운동상담을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화하기 위해서는 운동하는 사람의 심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올바로 평가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를 통해 운동하는 사람의 태도와 행동을 이해하고 예언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보다 높은 수준의 운동상담을 도모할 수 있다. |
유아 및 아동스포츠 상담 |
유아나 아동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기이다. 이들의 운동과 심리발달을 기초로 올바른 운동상담을 도모하고자 한다. |
노인스포츠와 상담 | 급격하게 증가하는 노인인구로 인해 노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노인의 운동과 심리발달이론을 배우고, 노인에게 운동을 통한 건강에 관해 올바른 운동상담을 도모하고자 한다. |
스포츠카운셀링 사례연구 |
일반인의 건강 운동과 전문운동선수들의 심리적 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사례를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상담 중재 전략과 기법들을 모색해본다. |
현장실습 | 체육진흥공단, 생활체육협의회, 휘트니스 및 헬스 센터, 태릉선수촌 등을 방문하여 운동상담운영의 실태를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운동상담 전략과 방법을 알아본다. |